코로나19사태로 인해 제21대 국회의원선거가 국민들의 관심사에서 밀려나 자칫 깜깜히 선거가 우려되고 있다. 특히 여야가 향후 정국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사활을 거는 진흙탕 싸움이 경주총선에서도 그대로 드러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번 경주총선도 미래통합당의 후보자 결정을 둘러싼 논란으로 공정선거, 정책선거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여당인 민주당은 지난달 말 경주시선거구에 전략공천으로 후보자를 결정했으나 당원들 간에 갈등은 여전히 남아 있어 결집을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전·현 국회의원을 비롯한 8명이 공천을 신청한 미래통합당의 경우 치열한 경쟁을 벌였으나 2명만 컷오프를 통과해 경선을 붙게 됐으며 탈락한 예비후보들은 이에 불복해 재 각각 명분을 앞세워 재심신청을 하거나 무소속 출마를 선언하고 있다. 이러한 논란은 앞으로 경주총선의 흐름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이번 총선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선거운동에 차질이 생긴 것은 어느 정도 납득할 수 있지만 문제는 총선을 불과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상황인데도 시민들은 후보자가 누군지, 자질은 있는지, 후보자들이 내놓은 지역발전을 위한 공약은 무엇인지 전혀 알 수 없는 상황이 되고 있다는데 있다. 그동안 예비후보들이 지역발전을 위해 내놓은 공약은 그리 많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미비했다. 여기에 미래통합당은 다른 지역에 비해 후보자 결정이 늦어지면서 시민들이 지역발전의 적임자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정당만 보고 투표를 해야 하는 현상이 벌어질 조짐이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이번 총선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은 높지 않지만 이번 사태는 머지않아 끝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총선 결과는 향후 지역발전에 그대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시민들은 직시해야 한다.
시민들은 비록 코로나19 사태로 혼란스럽겠지만 이번 총선에도 높은 관심을 가져주길 기대한다. 시민을 대표하는 대표를 뽑는 선거이자 경주발전의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하는 적임자를 선택하는 선거이기 때문이다. 지역의 일꾼을 잘못선택하면 경주발전은 고사하고 지역사회는 분열되고 혼란에 빠질 수 있다. 뽑고 나서 후회하지 말고 제대로 된 인물을 선택하는 이번 경주 총선을 만들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