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말부터 예정됐던 경북도 재난 긴급생활비 지급이 늦어져 시민들의 불만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정부의 재난지원금보다 더 늦게 지원 받게 될 시민들도 상당할 것으로 보여 긴급이라는 말이 무색하게 보일 정도다.
또한 주민 편의와 업무 효율을 올리기 위해 4월 3일부터 24일까지 실시한 온라인 신청이 미비한 시스템으로 중복업무로 작용해 온라인 신청자보다 방문 신청자들의 결정이 먼저 처리되는 상황도 발생했다.
-지역화폐 부재, 인력부족이 원인 시 관계자는 “이번 경북 재난 긴급생활비의 지급 지연은 경주에 지역화폐가 없어 선불카드를 제작하느라 시간이 많이 소요됐고 6만 건에 달하는 신청서를 20여명의 TF팀이 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경북도에 따르면 4일 기준 시·군 평균 재난 긴급생활비 지급률은 48.4%. 경주는 19%로 가장 낮다. 이마저도 시민들에게 전달되는 실질적인 지급률이 아니며, 4월 한 달간 5만9723건 중 1만2083건이 처리돼 5월 중에도 전체 시민이 다 받을 수 있을지 확실하지 않다.
-온라인 신청자, 방문 신청자보다 결정 늦어질 수도 주민 편의와 업무 효율을 위해 진행된 온라인 신청이 오히려 역효과가 날 것으로 보인다. 경북도와 시의 시스템이 연동되지 않아 각 읍·면·동에서는 신청서를 직접 출력해 검토해야하는 것. 이 때문에 경주시에서는 방문 접수된 신청서부터 검토하고 있어 온라인 신청자들의 지급 순위는 밀리게 돼 온라인 신청 주민들의 불만 또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일부 시민들은 이번 재난 긴급생활비 지연에 대해 “코로나로 인한 시 관계자들의 노고를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타 시·군보다 심하게 지연되는 것은 문제가 있어 보인다”면서 “특히 지급 결정 여부도 확인할 수 없고 지급이 지연된다는 안내도 없어 답답하기만 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