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역 앞 집창촌 폐쇄 후 ‘기능 전환’ 요구
임활 의원 5분 발언
이상욱 기자 / 입력 : 2020년 09월 17일(목) 18:07
공유 :   
|
|
 |
|
↑↑ 임활 의원은 5분 발언을 통해 경주역 앞 집창촌을 폐쇄하고 기능전환을 통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것을 요구했다. |
| 불법영업이 여전한 경주역 앞 집창촌을 폐쇄하고, 기능 전환을 통해 이 일대를 활성화시키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임활 의원은 지난 14일 열린 제254회 경주시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발언에서 경주시가 집창촌을 폐쇄하고, 중장기적 계획수립을 위한 용역을 조속히 시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임 의원은 먼저 “경주시는 신라왕경특별법 제정 등을 통해 역사유적 정비 사업이 본격 추진됨에 따라 세계 속의 역사문화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바 있다”면서 “최근에는 코로나19로 관광객이 다소 주춤하지만 황리단길을 비롯한 다양한 관광인프라 확충으로 앞으로 2000만 관광객시대를 열어가야 하는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이 같은 중차대한 시점인 현재에도 경주시의 관문이라 할 수 있는 경주역 앞에 집창촌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에 실로 놀라움 따름”이라며 “천년의 역사를 품은 경주 중심지에 아직까지도 집창촌이 방치되는 등 행정의 적극적인 관심을 끌지 못하는 현실이 심히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지난해 공모사업으로 선정된 원도심 재생사업에 소요사업비가 과다해 집창촌이 포함되지 않았다”며 “이는 자칫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취지를 무색하게 할 뿐만 아니라, 향후 경주역사 등 폐선부지를 활용한 새로운 경주의 랜드마크 조성에도 많은 애로사항이 나타날 것”이라며 집창촌에 대한 사업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임 의원은 또 최근 타지자체 사업전환 사례를 들기도 했다. 임 의원에 따르면 창원시는 지난해 집창촌 폐쇄에 따른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부지 매입과 함께 올해 7월 창원시 성매매피해자 등의 인권보호 및 자립·자활 지원 조례를 제정했다.
또 아산시는 여성친화형 도시재생뉴딜사업을 추진해 여성과 남성이 동등하게 참여해 지역의 일자리, 돌봄,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가는 공간을 조성 중에 있고, 이미 2017년에 관련 조례를 제정했다. 이외에도 전주시, 파주시 등 전국의 여러 지자체도 지역적 특색에 맞는 기능 전환 사업을 시행 중에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임 의원은 “이 같은 사례를 통해 타 지자체들이 얼마나 발 빠르게 대응하는지 알 수 있다”면서 “경주시도 더 늦기 전에 슬럼화하는 집창촌의 기능전환과 함께 원도심 활성화사업에 대해 깊이 있게 고민하고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집창촌은 업소와 지역주민 등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하나의 정책으로 단기간에 해결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지역적 특색에 맞는 사업 발굴 및 어떠한 방식으로 개발할 것인지 중장기적인 계획수립을 위한 용역을 조속히 시행해 할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끝으로 임 의원은 “집창촌은 역사문화도시 경주의 치부일 수밖에 없는 현실을 경주시가 직시하고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시행해 줄 것”을 당부했다.
|
|
이상욱 기자 - Copyrights ⓒ경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최신이슈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