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뉴스 > 사회
시민기자가 만난 사람-배문경 수필가, 11년 만에 첫 산문집 ‘쪽빛에 물들다’ 출간
조금 더 편하고 즐거운 삶의 노래를 쓰고 싶다
윤태희 시민 기자 / 1466호입력 : 2020년 12월 03일(목) 13:07
공유 : 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요즘에

“새벽에 일어나 어두운 세상을 바라봅니다. 새벽은 뒤이어 올 빛 세상의 전 단계입니다. 새벽의 희붐한 세상은 사물이 선명하지는 않지만 수채화처럼 번져나가는 고요가 있어서 편안합니다. 지난 10여년 넘게 쓴 수필을 묶어보았습니다. 첫 책 ‘쪽빛에 물들다’ 산문집은 쪽빛 염색의 산화, 환원, 숙성, 발효의 네 단계처럼 생각에 뼈대를 세우고 잔뼈를 붙이고 살을 바르고 옷을 입혔습니다. 아직은 부족하지만 하늘물빛 같은 제 색깔을 내어온 글들을 담아보았습니다. 천년을 견디는 쪽빛처럼 오래도록 기억될 좋은 글을 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경주문인협회 수필분과 위원장을 맡고 있는 배문경(56) 작가의 첫 산문집 ‘쪽빛에 물들다’(도서출판 예술과 마을)를 발간했다. 배 작가는 2009년 ‘수필과 비평’을 통해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며 그 해 시흥문학상을 수상하고, 2016년에는 천강문학상을 수상했다, 작품 ‘오동나무, 울다’가 2020년을 빛낼 60인의 수필가의 작품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수필가이자 시인인 배작가를 만나 출간을 앞두고 있는 산문집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

-11년 만에 첫 산문집
포항에서 태어나 2남 3녀의 막내로 연로하신 부모님 밑에서 외로움 속에 성장했다. 사춘기에는 집을 떠나 독립하리란 단단한 각오가 있었지만 쉽지 않았다. 간호대학을 졸업하고 지난 25년쯤 간호사로 살았다. 현재 경주시 소재 ‘굿모닝병원’에서 간호과장 겸 종합검진센터 센터장으로 일하고 있다. 글은 대학시절부터 취미가 있어 더러 썼지만 이렇게 작가로서 등단하고 책을 발간할 줄은 몰랐다.

수필은 내게 세상의 크고 작은 이야기들을 말에서 언어로 바꾸는 길을 만들었다. 다시 글은 삶을 읽는 힘을 만들어 주었다. 나와 타자의 삶이 문장 틈틈이 시간의 지층으로 쌓였다. 혈연이 나를 만든 DNA라면 인연이 된 많은 사람들은 나의 정서와 생각에 영향을 끼쳤다. 기억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글이 필요하듯이 순간을 기록하고 마음을 기록했다. 가슴속의 따뜻한 사랑과 냉정한 이성을 그 안에 넣는 작업을 하며 십여 년을 보냈다. 너무 오래되어 낡은 스웨터 같은 글도 있고 따끈한 호빵이나 초콜릿 같은 글들이 섞여있다. 완전히 발가벗은 듯해서 부끄럽고 노력한 부분의 결실이 감격스럽기도 하다.

-산문집에 담긴 수필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작품이 있다면
등단작인 ‘달빛연가’는 불국사를 배경으로 어머니의 사십구재를 썼고, ‘기림(祇林)의 달’은 어머니의 생애에 대한 슬픔과 인연을 썼고 이 작품으로 경북문학대전에서 수상했다. 그리고 경북문화체험 수필대전에서 수상한 ‘절 없는 절’은 경주 탑곡 마애불상군을 배경으로 쓴 글이다.

이처럼 경주와 불교라는 의식이 깔려 있는 글은 2016년 천강문학상을 수상한 ‘목리(木理)’를 통해 좀 더 구체화되었다. 나무의 이치에 빗대어 인간의 정서를 투영하며 쓴 글이기 때문이다. 모두가 나의 분신이다. 그래도 ‘기림의 달’은 다시 보아도 가슴을 울리는 종소리가 늘 묻어나는 글이다.

작품집에 수록된 글은 부모님과 이웃의 삶이, 그리고 간호사로서 살아온 나 자신의 삶과 환자들의 삶이 투영되어 있다. 그리고 종교적으로는 불교적인 성향의 글이 많다.


-산문집을 읽은 평론가들이나 수필가, 주변의 반응은 어떤가.

이번 산문집에는 40편의 수필이 실려있다. 긴 것은 원고지 18매이고 짧은 것은 9매도 있다. 상징과 은유 그리고 문학성과 감동을 한꺼번에 잡기란 녹록하지 않다. 수필 장르는 많은 글을 담는 아주 큰 항아리다. 나는 그 항아리에 쪽을 담아 우려낸 쪽빛처럼 쓴 글들이 많다. 독자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아 즐겁다.

한상렬평론가로부터 ‘계단’은 새로운 시도를 한 작품으로 인정받았고, ‘목리’는 장성진 교수로부터 평범해지기 쉬운 제재의 상호결합을 서술의 속도감으로 완성도를 높였다는 평이었다.

‘쪽빛에 물들다’ 수필집의 작품해설에서 김동수평론가는 희로애락 그리고 그 굴곡을 넘나들며 추출한 삶의 앤솔로지(anthology)들, 이제 작가는 모든 것을 문학의 용기에 담아 독자에게 건넨다. 그러면 독자는 그 맛을 음미하며 자신의 삶을 돌아볼 것이라고 했다.

-앞으로의 계획과 독자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계속 글을 쓸 것이다. 아마도 이후에는 조금 더 편하고 즐거운 삶의 노래를 쓰고 싶다. 살아가는 일은 혼자 이루어지지 않는다.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했을 때 기쁨은 고조된다. 나의 글과 독자의 바람이 하나가 된다면 더없이 기쁜 일이 되리라 본다. 네버 엔딩 스토리(Never ending story)가 기다리고 있다. 독자의 응원은 더 나은 문학성과에 버팀목이 되는 만큼 큰 응원의 박수를 부탁드린다.

배문경 작가는 25년 동안 간호사로 경주수필문학회 회장을 맡으며 꾸준히 글을 써 이번에 그 첫 결실을 맺었다. 출판기념회는 지난 3일 6시 30분 경주예술의전당 스카이 라운지(커피숍)에서 1부 출판기념회, 2부 wine Bar & grape juice party 순서로 열렸다
윤태희 시민 기자  
- Copyrights ⓒ경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최신이슈
이전 페이지로
실시간 많이본 뉴스  
최신뉴스
경주서 연휴 사흘간 확진자 13명 추가 발생..  
경주 희망농원 ‘고병원성 AI’ 최종 확인..  
경주서 교회발 감염 9명 등 11명 추가 확진 ..  
기대하지 않았던 시필이 작품이 되다..  
코로나19 위기 적막강산이지만 이겨내자..  
방치된 경주경마장 부지 보존·활용 기대한다..  
지방자치법 제·개정과 주민참여 경주 기대..  
남산에 눈이 내리면 어떤 음악소리가 울릴까..  
그럼에도… 경주역 광장 크리스마스트리가 전하는 희망의 메..  
경주 의병장 김득복과 김득상의 자취를 찾아서..  
오르페오가 뭐길래?..  
북촌을 거닐며 본 성건동의 내일…!!..  
포석정(3)..  
담뱃값으로 자전거 산 오기택 씨..  
경주공무원공상유공자회, 사랑의 마스크 1만장 기부..  
광고・제휴・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기자윤리실천요강 기자윤리강령 편집규약
제호: 경주방송 /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계림로 69 (노동동) 2층 / 발행인·편집인 : 이상욱
mail: egbsnews@hanmail.net / Tel: 054-746-0040 / Fax : 054-746-0044 / 청탁방지담당관 이상욱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아00214 / 발행·등록일 : 2012년 04월 09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상욱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