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뉴스 > 사회
엄격한 형식미를 위한 클래식 튀튀
경주신문 기자 / 1457호입력 : 2020년 09월 24일(목) 13:18
공유 : 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요즘에

↑↑ 이동우
좋은 콘텐츠를 만드는
이지씨씨 대표
발레사를 보면 여성무용수들의 치마가 점점 짧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발레가 유럽 궁정에서 사교를 위한 필수과목으로 통할 때는 치마가 바닥을 쓸 정도로 치렁치렁 길었다.

시대의 반항아 카마르고가 나타나 발목이 보이도록 치마 끝단을 싹둑 잘라낸 건 혁명과 같은 일이었다. 치마 아래로 다리가 보이기 시작했고, 하체 테크닉이 개발되었다.

이어서 발레는 형식을 갖추기도 전에 낭만주의를 맞이하였다. 이때 낭만주의는 ‘로맨틱 튀튀’라는 새로운 무대의상을 선보였다. ‘라 실피드’나 ‘지젤’에서 처녀귀신들이 입고 춤추는 종모양의 하늘거리는 그 옷이 바로 로맨틱 튀튀다. 그래도 로맨틱 튀튀는 무용수의 무릎까지는 허락하지 않았다.

근래에 자주 공연되는 백조의 호수를 보면 여성 무용수들이 무릎은 물론이고 허벅지까지 드러나는 짧디짧은 치마를 입고 나온다. 요즘의 우리는 발레리나라면 응당 이 옷을 입는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바로 ‘클래식 튀튀’다.

관점에 따라 선정적이기도 하지만 온 하체가 여실히 드러난 이상 무용수로서의 다양한 테크닉을 그대로 보여줄 수 있다.

푸에테나 그랑 파드되 같은 고전주의 형식들은 의상형식인 클래식 튀튀에 터 잡은 것이다. 이 짧은 치마가 아니었다면 32회전 푸에테가 가능하지도, 아름답지도 않을 것이다.

클래식 튀튀는 엄격한 형식의 상징이다. 발레리나의 다리에 무한한 자유를 부여했지만 발끝을 짓누르는 포인트 슈즈와 함께 무용수를 속박하는 도구였다.

이후 맨발에 흘러내리는 슬립드레스가 현대무용의 전형이 된 건 이런 속박에서의 탈출을 의미한다. 프티파가 만들어낸 고전발레의 엄격한 형식미는 이렇게 해체된 것이다.
경주신문 기자  
- Copyrights ⓒ경주방송.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최신이슈
이전 페이지로
실시간 많이본 뉴스  
최신뉴스
경주서 연휴 사흘간 확진자 13명 추가 발생..  
경주 희망농원 ‘고병원성 AI’ 최종 확인..  
경주서 교회발 감염 9명 등 11명 추가 확진 ..  
기대하지 않았던 시필이 작품이 되다..  
코로나19 위기 적막강산이지만 이겨내자..  
방치된 경주경마장 부지 보존·활용 기대한다..  
지방자치법 제·개정과 주민참여 경주 기대..  
남산에 눈이 내리면 어떤 음악소리가 울릴까..  
그럼에도… 경주역 광장 크리스마스트리가 전하는 희망의 메..  
경주 의병장 김득복과 김득상의 자취를 찾아서..  
오르페오가 뭐길래?..  
북촌을 거닐며 본 성건동의 내일…!!..  
포석정(3)..  
담뱃값으로 자전거 산 오기택 씨..  
경주공무원공상유공자회, 사랑의 마스크 1만장 기부..  
광고・제휴・기사제보 개인정보취급방침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기자윤리실천요강 기자윤리강령 편집규약
제호: 경주방송 /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계림로 69 (노동동) 2층 / 발행인·편집인 : 이상욱
mail: egbsnews@hanmail.net / Tel: 054-746-0040 / Fax : 054-746-0044 / 청탁방지담당관 이상욱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아00214 / 발행·등록일 : 2012년 04월 09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상욱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을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