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말을 타전하다
안현미
여상을 졸업하고 더듬이가 긴 곤충들과 아현동 산동네에서 살았다 고아는 아니었지만 고아 같았다 사무원으로 산다는 건 한 달치의 방과 한 달치의 쌀이었다 그렇게 꽃다운 청춘을 팔면서 살았다 꽃다운 청춘을 팔면서도 슬프지 않았다 가끔 대학생이 된 친구들을 만나면 말을 더듬었지만 등록금이 없어 학교에 가지 못하던 날들은 이미 과거였다 고아는 아니었지만 고아 같았다 비키니 옷장 속에서 더듬이가 긴 곤충들이 출몰할 때도 말을 더듬었다 우우, 우, 우 일요일엔 산 아래 아현동 시장에서 혼자 순댓국밥을 먹었다 순댓국밥 아주머니는 왜 혼자냐고 한 번도 묻지 않았다 그래서 고마웠다 고아는 아니었지만 고아 같았다 여상을 졸업하고 높은 빌딩으로 출근했지만 높은 건 내가 아니었다 높은 건 내가 아니라는 걸 깨닫는 데 꽃다운 청춘을 바쳤다 억울하진 않았다 불 꺼진 방에서 더듬이가 긴 곤충들이 나 대신 잘 살고 있었다 빛을 싫어하는 것 빼곤 더듬이가 긴 곤충들은 나와 비슷했다 가족은 아니었지만 가족 같았다 불 꺼진 방 번개탄을 피울 때마다 눈이 시렸다 가끔 70년대처럼 연탄가스 중독으로 죽고 싶었지만 더듬더듬 더듬이가 긴 곤충들이 내 이마를 더듬었다 우우, 우, 우 가족은 아니었지만 가족 같았다 꽃다운 청춘이었지만 벌레 같았다 벌레가 된 사내를 아현동 헌 책방에서 만난 건 생의 꼭 한 번은 있다는 행운 같았다. 그 후로 나는 더듬이가 긴 곤충들과 진짜 가족이 되었다 꽃다운 청춘을 바쳐 벌레가 되었다 불 꺼진 방에서 우우, 우, 우 거짓말을 타전하기 시작했다 더듬더듬, 거짓말 같은 시를!
-더듬이가 긴 곤충, 새로운 시인의 탄생
 |
 |
|
↑↑ 손진은 시인 | 7, 80년대 가난한 시절의 자취방을 기억하는가? 비키니 옷장과 연탄불, 얼굴에 자꾸 기어오르던 더듬이가 긴 곱등이와 같은 곤충이 떠오르는가?
이 시는 그 시절 시인의 자전적 요소가 고스란히 들어가 있다. 여상을 졸업하고 높은 빌딩의 사무원으로 출근하는 것은 “고아는 아니었지만 고아 같”은, “한 달치의 방과 한 달치의 쌀”을 빼고 나면 아무것도 남지 않는 생존 그 자체이다. 그 생존 때문에 “꽃다운 청춘을 팔면서도 슬프지 않았”다. “가끔 대학생이 된 친구들을 만나면 말을 더듬”었지만 그건 이미 과거의 일이었기에.
그러나 이 시는 힘들고 구차했던 이야기를 넘어서는 구체적 경험 속의 나를 새롭게 형상화시킨다. 그것은 시인이 탄생되는 과정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일상적으로 볼 때는 드러내기 쉽지 않은 부끄러운 이야기이지만 시인됨의 운명이 들어가면서 구체성과 감동이 배가된다. 꽃다운 청춘을 벌레로 소모하고 있던 화자를 결정적으로 바꾼 계기는 “벌레가 된 사내를 아현동 헌 책방에서 만난” 일(카프카의 「변신」을 만났던 것일까?)이며, 그건 “생의 꼭 한 번은 있다는 행운”이 된다.
이 일을 기점으로 “고아는 아니었지만 고아 같았”던 삶은 벌레마저 “가족은 아니었지만 가족 같았다”로 천명하는 삶으로 비약한다. 이 자발적 가난 속에서 더듬이가 긴 곤충은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그래서 “고아는 아니었지만 고아 같”은 팍팍한 현실에서 빛을 싫어하는 것을 빼곤 나와 동일시되는, “가족 같”은 존재로 바뀐다. 더듬더듬 나를 더듬던 그 곤충은 자살을 하고 싶은 나를 저지시켜 주다가, 우우, 우, 우 어눌한 말, 거짓말, 시 등으로 확장되면서 “더듬이가 긴 곤충(시인)들과 진짜 가족이 되”어 결국 세상에 타전하는 시적 진실, 거짓말 같은 시를 쓰는 시인으로서의 삶으로 나를 이끌고 있는 것이다. 이 시는 청춘을 바쳐 얻어낸(“높은 빌딩으로 출근했지만 높은 건 내가 아니라는 걸 깨닫는 데 꽃다운 청춘을 바쳤다”) 시인의 직함으로, 세상이 진실이라 믿는 것과는 다른 차원의 ‘거짓말 같은 진실’로 세상을 정화시키는 긍지와 소명을 드러내고 있다.
|